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무지외반증과 하이힐
무지외반증 - 출처"아산병원

무지외반증이란 뭘까?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두번째 발가락쪽으로 과도하게 휘면서, 엄지발가락쪽 관절이 툭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가족력, 평발 등 선천적인 요인도 있고, 걷는 자세, 하이힐이나 앞볼이 좁은 신발을 신는 행위 등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입니다.

예전에는 여성이 주를 이뤘다면, 요즘은 남자도 키높이 신발과 볼이 좁은 구두를 많이 신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율도 높다고 합니다. 

또한, 소아 무지외반증 발생률도 높다고 해요. 그러나, 어린이들은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자가진단이 어려워서 조기에 치료받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고 합니다.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

주요 증상은 엄지 발가락쪽 통증과 발바닥의 굳은 살이지만, 육안으로 휘어진 정도나 통증이 심하지 않는 경우는 방치하거나 수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시기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러나, 이를 방치할 경우 걸을 때 엄지발가락의 통증으로 잘못된 보행습관이 생기기 쉽고,지간신경종이나 발가락 관절염, 발가락 관절의 탈구 등 2차 질환이 발생할 확률 위험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해요.

출처:연세프라임병원

그럼 수술을 꼭 해야만 하는걸까?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하는 건 아니고, "수술치료는 뼈의 정렬상태, 환자가 느끼는 통증과 불편함, 기존 치료의 반응여부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있는 게 아니라면 비수술적 치료로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CM병원 정형외과 신혁수전문의께서 말씀하셨다고해요.

하지만, 비수술적으로 호전이 안되고, 보기에도 좋지 않고, 튀어나온 뼈로 인해 신발이 안 맞는 경우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해요.

최근에는 수술 기법및 통증조절방법등 방법이 많이 개선되어서 재발률도 많이 낮춰졌다고 해요.

증상악화를 방지하고, 2차 질환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는 병원에 들려서 상담받아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예방법을 남겨드려요~

◇ 무지외반증 예방법
1. 가급적 볼이 넓은 신발을 착용
2. 하이힐은 굽이 낮은(5cm 이하) 신발을 착용하고, 1~2시간 후에는 휴식
3. 평발의 경우 발바닥 내측을 지지해주는 깔창을 착용
4. 스트레칭과 따뜻한 물로 족욕을 자주해주어 피로를 풀어줌
5.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6. 양쪽 발의 엄지발가락에 고무 밴드를 끼워 당겨주는 무지외반증 교정 운동을 실시

모두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랄게요~

 

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